意志있는 ADAGIO (이달승, 미술평론가)
회화의 죽음을 이야기하더니, 어느새 회화의 부활을 들먹인다. 하지만 회화를 죽이고 살리는 우리의 야단스런 호들갑 가운데 회화는 여전히 침묵한다. 회화는 죽은 적도 되살아 난 적도 없다. 회화는 그 권한을 박탈당한 적도 탈환한 적도 없다. 회화는 시작도 모르고 끝도 모른다. 회화에는 나이가 없다. 회화에는 유파도 시류도 경향도 컨셉도 없다. 다만 '날짜 없는 시간'을 사는 지향만이 있을 뿐이다. 이를테면 침묵이 일러주는 지향침묵이 이끄는 그러한 지향을 일컬어 우리는 '회화의 모험'이라 부른다.
회화에서의 모험이란 다름 아닌 눈의 욕망이 나아가는 여정을 말한다. 그런데 눈의 욕망 즉 보려는 욕망은 그리려는 욕망과 보이지 않는 숨소리를 사이에 둔 동일한 욕망이 다 낯간지러운 감상이라는 야유를 감수하더라도, 그리움이라는 단어의 울림을 다시 떠올려보자. 그리움이란 아직 만나지 못한 것 혹은 이미 잃어버린 것이 남긴 빈자리를 지켜보는 애석함을 말한다. 회화는 원래가 그렇게 그리움의 오랜 연인 이었다. 일찍이 플리니우스는 그림이 품은 그리움을 이렇게 적고 있다. "회화의 원리는 선의도움을 빌어 인간 그림자의 윤곽을 뒤쫓는데 있다"고. 여기서 그림자의 윤곽이란 회화가 머물 수밖에 없는 자리를 말하고 뒤쫓는 움직임은 회화가 지날 수밖에 없는 시간을 말한다. 그림자의 윤곽을 뒤쫓는 움직임, 헛된 추적의 위험부담마저 감수해야 하는 긴장, 이제 그리움은 나른한 감상이 아니라 긴박에 휩싸인 의지가 된다. 감상으로서의 그리움이 아닌 의지로서의 그리움. 이것이 바로 화가 정병국이 그림을 그린다는 그 이유만으로 견뎌내야 하는 그리움 즉 의지이다.
그런데 회화에서의 의지란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관철해야 한다는 의미에서의 의지가 아니라, 화가가 나아가는 걸음걸이의 그 순수한 움직임 속에 그 뜻과 힘이 새겨지는 의지이다. 가령 화가가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자신이 그리고 싶은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그려가는 가운데 자신이 그리고 싶은 것을 비로소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는 '예감'에 자신을 내맡길 때 그림은 시작된다. 그러나 화폭이 그 '예감'의 손길을 받아줄지 뿌리칠지 화가는 알지 못한다. 아울러 우리 또한 '행인'의 발걸음이 어디로 향하는지 알지 못한다. 이러한 까닭에 정병국의 그림들 앞에서면서 우리가 낯선 느낌을 지우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못내 조급하다. 화폭 앞에서의 낯설음에 서둘러 의미를 추궁한다. 성급함에 그림의 제목을 곁눈질해보기도 한다. 그림과 제목사이에 미끄러지는 아슬아슬한 엇박자 탓 인지, 제목이 낯설음을 도리어 더해준 탓인지 우리의 낯설음은 좀처럼 가시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화폭 앞에서 부당하게 의미를 기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어쩌면 여기서의 낯설음이란 지나친 의미의 기대가 안겨주는 좌절탓은 아닌지 가령 '툭트인 정경'에서 인물의 시선이 광활한 정경을 만끽하고 있는지, 아니면 寞寞함에 어처구니없어 하고 있는지 우리로서는 구분이 쉽지 않다. 실제로 둔중한 부피의 몸집은 푸르름의 깊이를 바라보는 인물의 심리적 정황에 대한 추측을 방해하고 있는 것도 같다.
정병국의 그림은 오히려 우리로 하여금 화면에 등장하는 인물의 내면움직임에 대한 구차하고 궁색한 짐작을 포기하게 한다는 데 그 매력이 있다. 무례하리만큼 대담한 화면구성, 인색하리 만큼 절제된 색조 그리고 무모하리 만큼 간결한 형태는 서글프리만큼 헐벗은 정경을 낳고 있다. 하지만 그 헐벗은 정경은 여하한 감정의 이입도 배격하려는 화가의 숨은 순진성을 드러내면서 힘을 얻고 있다. 아무런 변명이나 장식도 없는 그래서 유창하지도 세련되지 않은 화가의 순진하고 단순한 시선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 것일까.
얼른 보기와는 달리 그의 그림은 도피, 우수, 방황등과 같은 내면의 동요나 갈등과는 무관하다. 착잡한 심리적 분장을 지워버린 화가의 시선은 이미 어떠한 내면의 웅성거림도 거들떠보지 않는다. 그렇다 그의 눈길은 내면을 뒤돌아보는 시선이라기보다는 바깥으로 불려나가는 시선이다. 그의 시선은 머리로 측량하거나 심정으로 헤아리는 시선이 아니라 몸과 함께 묻어나가는 시선이 다 그만큼 그에게 있어서 화폭이란 거리를 두고 지켜볼 수 있는 세계를 담아내는 장소가 아니라 이미 몸이 들어서있는 자리이다.
그의 화면에 등장하는 상대적으로 거대한 '기념비'적 육체는 그가 인물과 거리를 취하기를 꺼리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가령 모델을 바라볼 때 그의 시선에 읽혀지는 것은 모종의 심리적 편향에 따른 외관적 인상보다는 모델의 순간적 포우즈에 그의 시선을 빼앗기면서 함께 휘청거리거나 출렁이는 몸의 움직임이다. 이처럼 인물을 대하는 심리적 거리(인간에 의해 계산된 인위적이고 의미론적인 거리)의 상실은 인간과 동물과의 차이를 희미하고 허약하게 만들고 있기도 하다. 그래서 그가 그린 인간은 사유하는 창백한 인간이 아니라 ‘낯선 장소'에서 만난 원초의 몸뚱아리와도 같다. 아마도 그는 인물을 관조하기보다는 인물의 몸뚱아리에 잠겨있는 침묵의 무게를 실어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침묵의 무게는 우리의 알량한 시각의 조정을 무색케 하면서 이미 우리의 시선을 압도해 들어온다. 정병국의 화폭 앞에서 우리가 느끼는 압박감은 바로 이 침묵의 무게 탓이다. 그리고 이 침묵의 무게가 사소한 의미에 조마조마해 하는 우리의 눈에 낯설어 보이는 것은 차라리 당연할 수밖에.
정병국에게 있어서 우리를 누르면서 다가오는 클로즈업은 단순한 거리조정을 통한 시선의 즐거움이 아니다. 클로즈업을 통한 즐거움에의 탐닉 곁에는 탐욕스런 觀淫의 유혹이 기다리고 있다. 그의 클로즈업은 오히려 밀려들고 달려드는 세계의 포우즈에 대한 순진한 응답이다. 아니 우리를 압도해 오는 세계의 포우즈에 대한 意志있는 답례이다. 너에 대한 나의 기꺼운 동의 말이다. '너로 나를 채운다.' 너의 출렁임에 나를 맡길 때 내가 채워진다던가.. "내가 곧 남이다"라고 랭보는 적었다.
하물며 '하얀 헝겊' 조각이면 어떠한가. 그건 곧 내가 아니었던가. 나의 그림자 마냥 나뭇가지에 내걸린 하얀 헝겊, 그 너덜거리는 헝겊 아래 깔려있는 처녀막 같은 순백의 신선함이 은근히 비쳐지는데 화가의 아릿한 감각의 떨림을 읽을 수 있다. 나뭇가지에 매달려 가파르게 떨고 있는 화가의 감각이 '산정'에 이를 때면 처녀막이 찢기는 듯한 파열음을 터트리고 만다. 그러나 이 파열음은 나르시즘에 빠져 허우적거리다 내지른 서툰 고함이 아니다. 그 파열음에 묻어나는 검은색은 어디서 온 것일까. 저 깊은 산정의 어둠으로부터, 화가의 오랜 꿈과도 같은 침묵의 ADAGIO로부터 빌어온 그리움을 담은 그림일기는 아닐까.